- 🌈어떤 색을 좋아해?
최근 선거가 끝나고, 새로운 대통령의 임기가 시작되었습니다. 선거 기간 내내 수많은 슬로건이나 유세들이 거리를 가득 뒤덮곤 했는데요. 각 정당마다 정치적 성향에 따라 색깔로 자신들을 표현하는 문화가 강하다보니, 꽤 알록달록한 시기를 보냈더랬죠. 저는 SNS를 하다가,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과 좋아하는 색깔의 불일치로 인해 생기는 여러 에피소드들을 많이 봤습니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색깔은 굉장히 직설적이고도 명확하게 어떤 표현의 수단으로 곧잘 쓰이는 것 같습니다. 특히 저는 최근에 꽃다발을 선물할 일이 많았는데요, 장미의 색깔마다 꽃말이 다른 바람에 오랫동안 고민을 한 기억이 있습니다. 색 하나하나마다 많은 메시지를 담고 있구나,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메시지를 담은 색깔이 오랫동안 받아들여진 경우 중 하나는 '무지개'입니다. 다양한 성소수자들을 두루 지칭할 때 쓰이는 이 무지개. 마침 6월은 '프라이드 먼스'라고 해서, 다양한 성소수자들과 관련된 행사들이 많이 개최되는 달이기도 한데요. 거리 곳곳에서 무지개를 발견할 수 있는 날이 많을 것 같군요. 마침 이렇게 색깔 이야기를 하게 된 김에, 여러분에게도 물어보고 싶군요. 저는 초록색을 가장 좋아하는데, 여러분은 어떤 색을 좋아하시나요?😄
-
🎉알고 싶어 너의 세상
이번 주말에 있었던 퀴어 퍼레이드. 저도 매번 참여하려고 하는 편입니다만, 이번에는 일정상의 문제로 가지 못했습니다. 항상 퀴어 퍼레이드를 할 때면 여러 관심들이 집중되기도 합니다. '퀴어'라는 것이 굉장히 큰 주제이기도 한 만큼 다양한 이해관계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이겠죠. 퀴어 퍼레이드는 언제나 단독으로 진행되지 않습니다. 바로 옆 거리를 살펴보면 이에 대한 반대집회도 함께 열리고 있죠. 서로가 목소리를 높여 노래를 부르지만, 완벽히 대비되는 그 내용이 부딪힐 때 저는 뭔가 자유로우면서도 어떤 갑갑함을 느끼곤 합니다. 뻥 뚫려있는 거리에 나와있지만 보이지 않는 거대한 벽에 가둬진 것 같은 기분을 느낄 때가 있습니다. 다른 여타 소수자들과 비교해보았을 때, '성소수자'는 자신의 정체성을 밝히는 것에 유독 예민한 편입니다. 그렇기에 익명성이 더욱 짙게 나타나고 더욱 공격받기가 쉽다고 여겨지곤 합니다. 저는 모르면 모를수록 더 쉽게 말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우리 주변에 성소수자들이 없는 것만 같고, 또 여러 매체에서 자신을 성소수자로 규정한 사람들을 잘 볼 수 없는 만큼 쉽게 성소수자들에 대한 편견이나 부정적인 말을 하기가 쉬워지는 거죠. 왜냐하면 우리가 모르는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정말 우리는 알지 못하고 있을까요? 그리고 우리 주변엔 없다고 확신할 수 있을까요? 그러한 문제로부터 시작하는 여러 영화들이 최근에는 아주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 중 가족부터 이야기를 시작하는 한 다큐멘터리를 소개해드립니다. 제목은 <너에게 가는 길>입니다. 벌써 개봉된 지 4년정도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퀴어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언급할 때 곧잘 등장하곤 하는 영화입니다. 성소수자인 자녀를 둔 부모님에게 집중하는 이 영화는 굉장히 많은 것들을 보여주고 들려주고, 생각하게끔 하는 영화라 여러분에게 추천 드리고 싶습니다.
최근에는 이런 영화들이 굉장히 많이 만들어지고 있기 때문에 조만간 또 이런 주제로 이야기를 더 이어나가고 싶습니다. 그런데 그런 영화들이 언제나 정답만을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큐멘터리나 영화라는 것은 어떤 정답을 말하는 수단이 아니고, 어떤 목소리를 들려주는 수단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목소리가 더욱 더 세상에 많이 나오고 있다는 것, 그리고 사람들에게 한 번 더 생각하게끔 한다는 것이 제가 영화를 좋아하는 이유라는 생각이 문득 듭니다!
-
오늘의 주제에 어울리는 노래를 하나 추천드립니다!
TIP) 앨범 커버를 클릭하면 노래 감상이 가능한 유투브 링크로 연결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