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는 어디선가 연결되어 있어
오늘의 주제를 생각했을 때, 문득 제가 지금 쓰고 있는 이 방구석 레터가 떠올랐습니다. 아니, 벌써 방구석 DJ로 취업(?)한 지 거의 2년이 되었지 뭡니까? 물론 그 동안 깜짝 휴재 및 여름 방학도 있긴 했지만 작심삼일의 대명사라고 할 수 있는 제가 이렇게 오랫동안 편지를 써왔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습니다! 지금 이 편지는 '스티비'를 통해 발송이 되고 있는 동시에 한 사이트에서 연재되고 있기도 한데요. 그러다보니 익명의 사람들로부터 댓글이나 감상을 종종 받습니다. 저희의 생각에 공감을 해주시거나, 혹은 이 편지를 보고 추천된 영화나 책에 도전해보았다는 글들을 읽을 때마다 뭔가 마음 언저리가 저릿저릿해지는 느낌을 받습니다. 이런 것이 바로 인터넷을 하는 묘미(?)이자 제가 계속해서 이 편지를 써나가는 이유겠지요.
이름은 커녕 얼굴조차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여럿 모여 있는 이 인터넷 세상에서 저는 다른 사람의 말에 종종 분노하기도 하고, 감동을 받기도 하고, 낄낄대며 웃기도 합니다. 전혀 나의 삶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 같았던 사람들이 갑자기 제 일상에 끼어들면서 생기는 변화들이 가끔은 놀랍기도 하고 기대되기도 하는데요. 여러분에게도 저희의 편지가 이런 긍정적인 변화의 원인이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
📜반드시 답장을 할 필요는 없지만: <마이 뉴욕 다이어리>
지난 겨울, 아주 핫했던 영화 <서브스턴스>를 기억하십니까? 그 영화에서는 두 주인공이 나오는데요, 그 중 하나를 연기했던 '마가렛 퀄리'가 바로 오늘의 영화 <마이 뉴욕 다이어리>의 주인공 '조안나'입니다.😎
'조안나'는 소위 말하는 문학도였습니다. '파리 리뷰'에서 시로 등단을 하기도 했는데요. 어느날 문득 새로운 곳에서 계속 글을 쓰고 싶다는 마음에 뉴욕으로 무작정 향합니다. 하지만 뉴욕은 아주 값비싼 도시,,, 결국 조안나는 일을 구하게 되는데요, 자신의 전공과 취향을 살려 작가 에이전시에서 일을 하게 됩니다. 막연히 책과 관련된 일을 하겠거니, 하고 들어온 이 회사에서 조안나는 예상치 못했던 업무를 맡게 됩니다. 바로 베스트셀러 <호밀밭의 파수꾼>의 저자인 '제롬 데이비드 셀린저'에게 전해지는 팬레터에 답장을 하는 일이었습니다. 이 작가가 팬레터를 전혀 받지 않기 때문에 조안나는 그저 기계적으로 "현재 제롬 셀린저 작가는 팬레터를 받고 있지 않습니다. 양해의 말씀을 드립니다"라는 내용의 답장만을 타이핑할 뿐이었죠. 하지만 '팬레터'라는 것은 그 많은 편지 중에서도 단연코 가장 간절한 편지 중 하나일 것입니다. 단어 하나하나에 깃들어 있는 그 마음을 외면하지 못했던 조안나는 본인이 작가를 대신해서 회신을 하게 되는데요, 그러면서 이 영화는 본격적으로 진행됩니다.
본인이 글을 쓰고 싶어했지만, 어쩐지 다른 글 쓰는 사람들을 위해 일하느라 글 쓰는 시간과 자신감이 계속 떨어져가던 조안나는 이 편지들, 그리고 작가인 '제롬 데이비드 셀린저'와의 통화를 통해 용기를 얻고 이윽고 뉴욕에서의 새로운 삶을 결심하게 됩니다. 처음엔 그저 글로만 다가왔던 편지들이, 조안나가 집중하고 공감할수록 점점 발신자의 얼굴을 하고 다가오는데요. 여러모로 연출이 세심하게 느껴지는 영화였던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영화 속 조안나를 보며 저는 저를 많이 돌아봤는데요, 우연히 PC 방에서 무미건조하게 시작했던 이 영화에서 저는 많은 위로를 받았습니다. 이 또한 영화가 제 삶이 끼어드는 순간이자, 제가 이 영화와 저만의 연결고리를 만드는 계기가 되겠지요! 여러분도 이 영화에서 비슷한 느낌을 받으실 수 있기를, 혹은 이렇게 본인의 삶과 연결될 영화를 곧 만나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
오랫동안 잊고 있었던 노래를 오랜만에 다시 들을 때의 그 짜릿함,,,! 제가 최근에 그렇게 느꼈던 한 노래를 추천 드리며, 여러분도 오랜만에 기억 저 편에 묻어두었던 노래들을 두어 개 찾아서 이번주에 들어보시길 바랍니다!😁
TIP) 앨범 커버를 클릭하면 노래 감상이 가능한 유투브 링크로 연결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