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마도 'FROM ME TO ME'
나는 서울의 어느 빌라에서 2명과 함께 살고 있다. 집에 있는 시간이 그렇게 많지 않은 이 조촐한 3인 가구는 일주일에 적어도 한번은 20L짜리 종량제 봉투를 꽉꽉 채워 버린다. 이 쓰레기봉투를 꽉꽉 채워 집 밖으로 내보낼 때 뭔가 모를 후련함을 느끼곤 한다. 아마도 내 눈앞에서 더러운 것들이 사라졌다는 것으로부터 오는 상쾌함 같은 것. 그러나 이것들은 정말 ‘사라질’ 수 있는 것일까?
작년 겨울 여느 때처럼 7720번 버스를 타고 돌아가는데, 연희동 길가에 가득 쌓인 종량제 봉투 더미가 눈에 들어왔다. 그저 분리수거일의 흔한 풍경일 뿐이었는데 아무렇지 않았던 일상적인 광경이 갑자기 숨 막히게 다가왔다. 연희동에는 사람이 몇 명이 사는 걸까? 연희동 – 서대문구 – 서울 – 대한민국 – 아시아 – 그리고 지구! 겨우 3명이서 일주일에 20L의 쓰레기를 버리는데, 이 지구 위 사람들이 일주일에 버리는 쓰레기의 총량은 어떻게 되는 걸까? (수학을 못해서 계산을 시도하지는 않았지만,, 당연히 무시무시하겠지!)
물론 이 쓰레기들이 재활용되고, 매장되고, 태워지는 과정이 있음을 알고는 있지만. 근데 정말 ‘안다’고 해도 되는 걸까? 도시 한복판에 사는 나는 수거 차량이 내 손을 떠난 쓰레기를 싣고 출발하는 그 순간부터 그것에 대해 까마득하게 잊어버린다. 심지어 볼 일도 없다. 당연하겠지만 이건 아마 사라지는 것이 아닐테지. 그저 떠돌다가 다시 우리에게 다른 형태로 돌아오는 무언가가 될 것이다. 며칠 전 친구들과 옷을 뜯어 먹는 소, 플라스틱을 먹는 물고기에 대해 얘기했다. 그 다른 형태가 된 쓰레기는 어느날 문득 우리의 식탁에서 다시 마주하게 될지도 모르는 일이다.
-
👀아름다운 것을 본 것도 죄라면
내가 사랑하는 영도에는 조그만 섬이 하나 더 있다. 조도라고도 불리고, 갈매기섬이라고도 불리는 이 섬은 간척으로 만들어졌다. 아주 어릴 때부터 조도에 들락날락했던 나에게 ‘간척’이란 것은 단지 가치 중립적인 과학 기술에 불과했다.
올해 서울 동물 영화제에서 나는 황윤 감독의 <수라>를 보았다. <수라>의 포스터는 정말 예뻤다. 키보다 큰 갈대들에 둘러싸인 두 인물이 마이크를 들고 붉은 태양을 향해 서 있는 모습. 자연의 아름다움에 대한 다큐겠거니 생각했다. 그리고 내 추측은 틀리지 않았다. 다만 그 ‘자연의 아름다움’을 지키려는 사람들의 노력이 가득 담겨 있었다.
내가 태어나기 전부터 진행되었던 ‘새만금 간척 사업’. 영화의 제목인 <수라>는 이 새만금에 거의 마지막으로 남아 있는 갯벌의 이름이다. 감독은 여기서 이 갯벌을 힘겹게 지키려는 ‘동필’을 만난다. 그가 이렇게까지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는 이 질문에 ‘도요새’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한때 여기는 도요새가 따뜻한 곳으로 날아가기 위해 들르는 정거장 같은 곳이었다. 그는 도요새들이 일제히 날아올라 하늘을 뒤덮는 그 황홀한 순간을 여전히 잊지 못한다. “도요새들이 그렇게 무리 지어서 날면 갑자기 바람이 불어요. 그 수많은 날갯짓들이 나를 스치면서 만들어내는 바람.” 그의 아들 ‘승준’ 또한 경험한 적이 있다. 하지만 ‘승준’보다 더 어린 감독의 아들은 평생 볼 수 없다. 여기에는 더 이상 도요새를 위한 갯벌이 없기 때문이다. ‘동필’은 이렇게 말한다. 내가 이렇게 수라 갯벌을, 새만금을 되돌리려고 하는 건 아마도 죄 때문인가봐. 아름다운 것을 본 죄. 그런데 아름다운 것을 본 것만으로도 죄가 되는 걸까?
-
✉️우주가 우리에게 보내는 하나의 사랑의 메시지
아버지를 따라 갯벌을 지키기 위해 ‘승준’은 마이크를 들고 새벽마다 ‘수라’에 간다. 법적보호종인 ‘쇠검은머리쑥새’의 쏭(Song)을 녹음하기 위해서. (새들이 번식에 내는 소리는 ‘Call’이 아니라 ‘Song’이라 부른다고 한다.) 여기에 살지 않는다고 판정되었던 그 새의 노래가 다시 들린다면 이 갯벌의 시간을 되돌릴 수 있을지 모른다는 희망. 실패를 거듭하다 마침내 ‘승준’은 그 사랑의 노래를 담는 데 성공한다. 그리고 이어서 ‘동필’ 또한 놀라운 발견을 한다. 10년 전에 이 갯벌에서 사라진 줄 알았던 ‘흰발농게’를 찾은 것이다. 그들은 바다에게 그저 돌려주기만 하면 된다고 말한다. 그저 바닷물이 다시 땅으로 들이친다면 갯벌은 틀림없이 돌아올 것이라고. 모든 생명들은 그저 그 순간을 기다릴 뿐이라고. 그리고 그 증거를 명확하게 두 부자는 발견하고야 말았다.
서울에 산지 벌써 꽤 시간이 흘렀다. 하지만 나는 아직도 힘들 때마다 고향의 바다를 찾는다. 물씬 느껴지는 바다 내음을 맡고 있노라면 조금 더 숨을 쉬기 편한 기분. 나는 그 섬으로부터 수많은 아름다움을 경험했고 그 추억들에 기대어 사는 나날이 많다. 아름다운 것을 본 것이 정말 죄라면, 그렇다면 나도 사실은 죄인인 것이다.
사실 이전과 비교해서 크게 변한 것은 없다. 쓰레기를 버릴 때 더 이상 후련하지 않다는 것과 무언가를 사거나 쓸 때 가끔 나도 모르게 멈칫하게 된다는 것. 그 정도가 전부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 미미한 변화는 가끔 나를 우울하게도 한다. 어떤 날은 내가 나아지고 있다는 생각을 하고, 어떤 날은 이런 건 다 쓸데없는 것만 같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계속해서 조금씩 변화해야 하는 이유를 맞닥뜨리게 된다. 우연히 영화 <수라>를 보게 되었을 때처럼, 바닷가를 산책할 때처럼, 문득 ‘우주가 우리에게 보내는 하나의 사랑의 메시지’를 마주하고 마는 것이다.
영화 <수라> (상영중) 외에도 정재은 감독의 <고양이들의 아파트>를 추천합니다. 재건축으로 곧 사라질 아파트에서 살던 고양이들은 이제 어디로 가는 걸까요? 고양이들의 발자국을 담은 귀엽고도 조금은 서글픈 이 다큐멘터리와 함께 들으면 좋을 선우정아의 '고양이'입니다! (저는 선우정아의 목소리가 고양이를 닮았다고 생각합니다. 한 팬의 사심 발언)
TIP) 앨범 커버를 클릭하면 노래 감상이 가능한 유투브 링크로 연결됩니다 |